논산 황화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논산 황화산성은 충청남도 논산시 등화동에 위치한 구릉형 야산에 있는 토성으로,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방어 거점 및 통신 시설로 활용되었다. 정상에서 호남평야를 조망할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둘레는 840m, 성벽 높이는 안쪽 4.5m, 바깥쪽 5m이다. 백제 의자왕이 유연을 즐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백제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토기 조각과 기와 조각이 출토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봉수대가 설치되어 채운산 및 노성산성과 통신을 연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산시의 문화유산 -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시대에 조성된 국보 제323호의 거대한 석불로, 은진미륵이라고도 불리며 토속 신앙과 불교가 혼합된 독자적인 양식을 보여준다. - 논산시의 문화유산 - 논산 노강서원 강당
논산 노강서원 강당은 1675년 김수항의 발의로 윤황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으며, 전학후묘 배치를 특징으로 하는 17세기 말 서원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 논산시의 건축물 - 논산역
논산역은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1911년 영업을 시작하여 1965년 재건되었으며, 1988년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고, KTX,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 논산시의 건축물 - 연산역 (논산)
충청남도 논산시에 있는 호남선 연산역은 1911년 영업을 시작한 보통역으로, 쌍섬식 승강장에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등록문화재인 급수탑과 철도문화체험장을 운영한다. - 충청남도의 기념물 - 당진 신리 다블뤼주교유적지
당진 신리 다블뤼 주교 유적지는 손자손 생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내포 지역 초기 천주교 공소이자 조선교구청으로 운영되었던 역사적 유적지로, 다블뤼 주교를 비롯한 순교자들이 체포되어 순교하였으며 병인박해 순교자 32인의 유해가 안장된 곳이다. - 충청남도의 기념물 - 보령 남포읍성
보령 남포읍성은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읍성으로, 왜구 침입 방어를 위해 축조되었으며, 돌과 흙으로 쌓은 성벽과 방어 시설, 그리고 관아 건물이 남아 있어 당시 읍성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논산 황화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논산 황화산성 |
한자 표기 | 論山 皇華山城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92 |
지정일 | 1993년 12월 31일 |
주소 | 충청남도 논산시 등화5길 95, 외 6필 (등화동) |
면적 | 55,737m2(7필) |
기타 정보 | |
문화재청 ID | 23,00920000,34 |
봉화산성 정보 (폐지) | |
이름 (폐지) | 봉화(황화)산성 |
유형 (폐지) | 문화재자료 |
지정 번호 (폐지) | 86 |
지정일 (폐지) | 1984년 5월 17일 |
해제일 (폐지) | 1993년 12월 31일 |
문화재청 ID (폐지) | 31,00860000,34 |
2. 위치 및 지형
충청남도 논산시 등화동의 구릉형 야산에 있는 산성으로, 계곡을 포함하여 쌓은 토성이다. 서북쪽으로 가파른 산비탈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에서는 호남평야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잡고 있다. 성의 둘레는 840m이고 동·서·남·북에 각각 성문터가 있으며, 성벽은 안쪽 높이 4.5m, 바깥높이 5m, 윗부분의 너비는 1.2m이다.[1] 백제 때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토기류와 기와 조각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백제 때에는 사비와 은진 주변을 지키기 위한 방어 거점의 하나로, 조선 시대에는 봉수대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1]
'''황화산성'''(黃華山城)은 충청남도 논산시 시내에서 약 2km 떨어진 등화동의 구릉형 야산에 있는 산성으로, 계곡을 포함하여 쌓은 토성이다.[1]
산성은 서북쪽으로 가파른 산비탈을 이루고 있으며, 정상에서는 호남평야를 한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잡고 있다.[1]
3. 구조
3. 1. 내부 시설
성 안에는 10m 이상 되는, 도랑처럼 파서 돌린 내호(垓壕)로 보이는 통로가 동쪽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돌아가고 있으며, 군량(軍糧)과 군기(軍器)를 저장하던 창고와 여러 건물 터가 남아있다.[1]
3. 2. 봉수대
성의 북쪽 산봉우리에는 조선 시대에 봉화를 피웠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는데, 원형으로 높이는 2.2m이다. 이 봉화대는 조선 시대에 인근의 채운산과 노성산 봉화대로 연결되는 것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은진현 봉화조에 나와 있는 내용과 일치한다.[1]
4. 역사
백제와 조선 시대의 토기류 및 기와 조각이 발견되어, 사비와 은진 주변 방어 거점 및 봉수대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1]
4. 1. 백제 시대
충청남도 논산시 시내에서 약 2km 떨어진 등화동의 구릉형 야산에 있는 산성으로, 계곡을 포함하여 쌓은 토성이다.[1] 백제 때에는 사비와 은진 주변을 지키기 위한 방어 거점 중 하나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1] 성의 둘레는 840m이고 동·서·남·북에 각각 성문터가 있으며, 성벽은 안쪽 높이 4.5m, 바깥높이 5m, 윗부분의 너비는 1.2m이다.[1] 성안에는 폭이 10m 이상 되는 도랑처럼 파서 돌린 내호로 보이는 통로가 동쪽을 제외하고 전체로 돌아가고 있으며, 군량(軍糧)과 군기(軍器)를 저장하던 창고와 여러 건물의 흔적이 남아있다.[1] 성에서는 백제 시대 토기류와 기와 조각이 발견되었다.[1] 전하는 말에 의하면 백제 의자왕이 유연(놀이로 베푼 잔치)하였던 곳이며, 유연처를 황화대라 불렀다고 한다.[1]4. 2. 조선 시대
성의 북쪽 산머리에는 조선 시대에 봉화를 피웠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는데, 원형으로 높이는 2.2m이다. 이 봉화대는 조선 시대에 인근의 채운산과 노성산 봉화대로 연결되는 것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은진현 봉화조에 나와 있는 내용과 일치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